2020년도에도 또다시 5월18일은 오고
있네요
이제는 모든 국민이 그때의 사건의
진실을 알고 있는데 정작 그사건을
일으킨 본인은 끝까지 모른다고,아니라고
하고 있네요
이세상에서의 생이 얼마 남지 않게되면
살아온 세월의 회한을 정리하며 양심에
따라 속죄하게 되는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는걸 깨닫네요
그리고 우리가 그런사람이 다스리는
나라의 국민으로 살았다는것이
참으로 가슴아픕니다
오래전보다는 많은것들이 밝혀지고 있지만
온국민이 확실하게 알고싶은 건
'그날 발포명령을 한자는 누구인가'
하는것인데 광주에서는 수많은 시민이
죽었고 세월이
참 많이 흘렀는데도 우리는 아직도
그때의 진실을,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보는것처럼, 확실하게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5.18 민주화 운동이란
1980년 5월 18일~~27일까지 전남도민및
광주시민들이 계엄령철폐와 전두환퇴진을
요구하며 벌인 민주화 운동 이라고
지식백과에 요약 되있는네요
코로나도 겁내하지 않으며 클럽에 드나
들다 확진판정을 받은 요즘 몇몇 청년들과
그시절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목숨을 잃어간
광주의 젊은이들과 많이 다른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5.18재단에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
내용을 옮겨볼께요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 새벽까지 열흘 동안,
전두환을 정점으로 한 당시 신군부
세력의 진압에 맞서 광주시민과
전남도민이 ‘비상계엄 철폐’,
‘유신세력 척결’등을 외치며
죽음을 무릅쓰고 민주주의 쟁취를
위해 항거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항쟁 기간 중 22~26일 닷새 동안은
시민들의 자력으로 계엄군을 물리치고
광주를 해방구로 만들어 세계사에서
그 유래가 드문 자치공동체를 실현하기도 했습니다.
계엄군에 의해 진압당한이후 5.18민주화
운동은 한때 '북한의사주에의한 폭동’으로 매도당하기도 했으나 진상규명을 위한
끈질긴 투쟁으로 1996년에는 국가가
기념하는 민주화운동으로, 2001년에는
관련 피해자가 민주화 유공자로, 5·18
묘지가 국립5·18 묘지로 승격되어
그 명예를 온전히 회복하였습니다.
5·18 민주화운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분수령이 되는1987년 6월 항쟁의
동력이 되어 민주주의 쟁취와
인권회복으로 이어졌습니다.
지금 5·18민주화운동은 독재정권에
맞서 싸우고 있는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중에게 귀중한 경험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동시에 민주화운동이
지향해야 할 정신적인 지표로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인들에게는 위대하고
아름다운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한국 민주주의의 밑거름 역할을 했다는
면에서 광주와 대한민국의 민중은
5·18 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고 있으며,
그 정신을 민주·인권·평화·통일 등
새로운 시대에 새롭게 제기된 과제로까지
확장시켜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고 하네요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자료들은
검색해보면 엄청 많네요
많이 살펴보시고 제대로 알고 5.18정신을
잘 기렸으면 좋겠네요sbs 5.18특집방송
그녀의이름을 이곳에 소개합니다.
sbs 5.18특집방송 "그녀의이름은"
sbs에서 5월17일밤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그녀의이름은"이란제목으로 특집 방송 하는걸 봤는데요 그동안 5월18일이 다가올때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뉴스나 신문들 보면 많은 이야기들을 하고
lan3927.tistory.com
고3 내일 등교 개학 등교 수업 (0) | 2020.05.19 |
---|---|
sbs 5.18특집방송 "그녀의이름은" (0) | 2020.05.18 |
등교 수업 연기 등교개학연기 (0) | 2020.05.12 |
재난지원금 카드 포인트 충전 사용제한 업종 살펴보기 (0) | 2020.05.11 |
21대 장애인 당선자 누구 (0) | 2020.05.07 |
댓글 영역